반응형

뷰티이야기 17

<뷰티이야기> 나에맞는 남성헤어스타일 선택하는 법

1. 클래식한 헤어스타일 사이드 파트, 슬릭 백, 폼파도르, 크루 컷, 버즈 컷과 같은 전통적인 헤어스타일을이 있다. 이러한 스타일을 가장 적합한 헤어 유형과 얼굴 모양, 유지하는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파트슬릭백폼파도크루컷버즈컷    (1) 사이드 파트(Side-Part)사이드 파트는 특별한 헤어 스타일링이나 절차 없이도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클래식 스타일 중 하나.머리를 가르는 라인을 한쪽으로 치는 스타일로, 뒤로는 볼륨감 있는 스타일.이 스타일은 상황에 따라 느낌을 바꿀 수 있는 다재다능한 스타일로, 정장 착용시에도 잘 어울리는 스타일.  (2) 슬릭백(Slick-back)슬릭백은 머리 전체를 뒤로 빗어 매끄러운 스타일링을 만드는 클래식한 스타일 중 하나.머리를 길게 유지하는 경우..

뷰티이야기 2023.02.20

<뷰티이야기> 화장품이 만들어지는 위생기준

화장품은 안전성, 안정성, 유효성, 사용성을 갖추어야 한다. 4가지 모두 중요한 요소이나 화장품이 미생물이나 다른 오염무로 변질되면 안쓰느니만 못 하다.그 중 오늘은 소비자들이 알지 못하는 화장품 제조사들의 작업장 위생구역별 청정도 등급과 관리기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화장품은 미생물이나 균으로부터 차단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런 이유로 소비자가 내용물을 온전히 사용할 때가지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넣기도 하나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물이나 습기)이런 환경으로부터 분리된 생산환경을 조성해야 할뿐만 아니라 작업장내 모서리는 곡선으로 하여 먼지가 쌓여있지 않게하는 등의 다양한 기준들이 있다. 영세한 업체나 혹은 관리가 부재한 곳에서는 이런 기준들이 무시되기도 하는데 오늘은 청정..

뷰티이야기 2022.11.08

<뷰티이야기> 화장품과 부자재 ③ - 라벨

1. 원단의 종류 아트지찢어지는 종이로서써, 식품, 포장박스, 바코드 프린트용, 상품스티커, 판지 의류 매장등 다양하게 사용 코팅지색상을 입힌 코팅 원단으로 유포지에 색상을 입혀 코팅시킨 종이. 모조지 질기고 강하며 윤택이 나는 원단열전사 방식의 라벨, 전산용, 기록용, 자동차, 상품라벨로 널리 사용 금/은지고급스런 효과를 가진 호일 증착지로써 무광, 유광으로 금색과 은색을 띔. 고급 장식의 특수라벨, 그급 상표용, 펜시, 물에 저항성이 있는 상품 등에 사용 그라프트지표면 처리된 백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원단으로 쉽게 찢어지지 않음. 신축성이 좋고 아트지보다 마찰이나 습기에 강하다.내습성과 속건성이 있어 광고용 라벨, 플라스틱 용기, 아이스크림, 생활용품 처럼 내습성이 필요한 곳에 사용.  한지고급스럽고 전..

뷰티이야기 2022.11.04

<뷰티이야기> 화장품과 부자재 ② - 용기와 튜브

부자재 첫번째 글은 단상자와 칼튼박스였다. 오늘은 1차 포장재에 해당하는 용기/튜브를 정리해 보자. PE(Polyethylene)폴리에틸렌이라고도 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3종류이다. 유동이 용이한 재료로 내용제성 및 높은 충격 강도를 지닌다. 투명도가 좋지 않다.낮은 단가로 활용범위가 다양합니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면 담아주는 비닐봉지부터 세제나 우유 용기와 같은 플라스틱병 등, 많은 일회용품이 PE. 대표적으로 고밀도(HDPE)와 저밀도(LDPE) 폴리에틸렌이 있는데, 고밀도 쪽이 좀더 견고하다. 화장품 병에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중 하나이다.PP(Polypropylene)유백색의 반투명으로 광범위한 착색이 가능하고 광택이..

뷰티이야기 2022.10.25

<뷰티이야기> 화장품과 부자재 ① - 단상자/칼튼박스

화장품을 선택하는데 있어 성분못지않게 구매욕구를 높이는 것이 포장재 이다. 그 중에서 소비자에게 가장 직관적이으로 보여지는 외포장중 단상재와 칼튼박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소비자보다 오히려 제품을 기획자들에게 도움이 될 법한 글이긴 하나 원료에 대한 성분을 많이 게재하여 당분간 부자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후 포장재 문제점(과대포장/폐기물발생 등)과 이를 극복하기위한 친환경 포장재/지속가능한 포장재에 대한 글을 연재해 보고자 한다.    당신이 구매하는 화장품의 얼굴 단상자2차 포장재에 해당하는 단상자는 미적기능을 높이고 이송/적재 중의 훼손을 방지하는데 있다.   마닐라지 폐지를 재생하여 생산하는 제일 저렴한 용지로, SC마닐라지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케치북 앞장에 재질을 생각하면 된..

뷰티이야기 2022.10.14

<뷰티이야기> 새로운 뷰티시장 추구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외적인 아름다움 뿐 아니라 건강을 생성하는 모든 요소들의 초점에 맞춰 뷰티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선진국은 고령화되거나 그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COVID-19로 인해 락다운, 재택근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큰 영향과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뷰티도 마찬가지다. 더 이상 잘 팔리던 우수한 브랜드 가치만을 믿고 기업을 성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또한, 더 이상 "성분"이 제품구매의 최우선 결정사항이 아니게 될 수 있다. 화장품의 대다수의 기업(특히, 브랜드력이 약하거나,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제품)은 성분을 내세운다. 이제 더 이상 화장품에서 성분을 강조하는 것은 새롭지도 특별하지도 않다. 안전한 성분을 가지고 실험적 테스트와 생화학적 연구를 통해 잘 ..

뷰티이야기 2022.09.21

<뷰티이야기> 화장품 트렌드를 찾는 방법

이번 주제는 화장품의 트렌드를 읽고 대처하는 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아마도 화장품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상품기획자들이라면 이 어딘가에 항상 놓여있고 해당될 것이다. 자, 그럼 시작해보자 우리가 혁신제품이 나오면 리더를 찾는다. 그러기에 혁신의 리더들부터 이해해보면 좋을 것 같다.   - 혁신적인 리더새롭고 혁신적이며 잠재적으로 "그 다음 더 큰 것(Next big thing)"을 추구한다. 이런 회사들은 획기적이고 타제품과 명확한 차별 우위를 갖고 있다. 조직과 분위기가 이런 결사체로 집결되어 있다면 시장을 흔들 수 있는 기회 조건을 갖고 있다. - 영감을 주는 트렌드 리더 대부분의 성공적인 기업이 이 자리에 있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활동 및 감각적 경험에서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제품을 창조한다. 이들은..

뷰티이야기 2022.08.26

<뷰티이야기> 미세플라스틱 그것은 어디에나 있었다

깊은 바다에서 산 꼭대기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지구를 플라스틱으로 덮어버렸다. 그리고 그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게 그리고 더 작게 분해되어 사람몸에까지 들어오고 있다.  플라스틱의 환경오염은 이젠 익숙해진 문제이다.거북이 코에 들어간 빨대, 해변에 떠밀려온 물병, 표류중인 거대한 플레스틱 쓰레기들...화석연료로 매년 수백만톤 생산되는 플라스틱이 바다와 토양에 버려지면서 점점 더 작은 조각으로 분해되고 있다.10년 전만해도 우리는 육안으로 미세플라스틱을 볼 수 없었다. 우리 주변 어디든지간에 이렇게 많이 있을것이라고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르다. 폐, 신장, 심지어 태어에 이르기까지 미세플라스틱의 역습이 시작됐다.버려진 플라스틱은 이제 사람의 장기에서 검출됐다는 과학적 연구..

뷰티이야기 2022.07.12

<뷰티이야기> 요즘같은 시대에 샴푸에서 벤젠이 나온다는게 실화임?!

세계 최대의 다국적 화장품, 생활용품기업 존슨앤존슨과 P&G가 미국에서 두드려 맡고있다.이유는 우리나라에서도 몇년전 생리대 발암물질과 관련하여 큰 사회적 사건이 있었는데 2021년 벤젠이 그것도 전 세계의 굵직한 기업들에서 검출되고 있다.    작년말(21년 11월)부터 미국 FDA에서는 에어로졸 타입의 화장품과 생활용품에서 벤젠 검출이 확인되어 리콜조지에 들어 갔는데 이후, 상당수 제품에서 연달아 확인되고 있다. 오늘은 해당문제를 정리하여 포스팅하고자 한다.   21년 11월 존슨앤존슨의 Hair food, Old spice 브랜드에서 벤젠성분이 검출됐다. 그리고 12월인 다음달 P&G 브랜드 Aussie, Herbal Essences, pantene, waterless등 6개에서 벤젠이 검출되어 FD..

뷰티이야기 2022.05.11

<뷰티이야기> 화장품 동물실험 논란 재점화

인간의 탐욕과 인간중심주의 사고관으로 동물실험이 무자비하게 자행된 것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생명의 존엄성을 헤치며 동물을 도구화 시키는 화장품 동물시험이 2020년 말부터 세계에서 다시금 거론되고 있다.당연히 지켜져야만 할 이 가치가 어떤 이유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화장품 동물실험은 앞으로 어떤 형국을 맞게될지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사건의 발단동물학대의 문제인식과 인식개선으로 2013년 3월 유럽연합에서 동물실험을 한 화장품 판매금지가 발효된다. 이 법의 제정은 단순히 법적 강제력을 넘어 인류의 생명의식을 개도하는 모범사례로 여러나라에 토론과 성찰을 불러 일으켰다. 그리고 7년 5개월 뒤2020년 8월 ECHA(유럽화학기구)의 항소위원회는 독일 화학제품 제조사인 Symrise 원료 2가지에 ..

뷰티이야기 2022.04.26
반응형